목차
확대
이전 페이지
다음 페이지
제1부 대한민국 건설업의 버팀목, 건설공제조합의 큰 걸음 1963 - 1979 1912년 경 부산에 조선 내 일본인이 최초로 건설회사를 설립했다고 알려 져 있으며 1920년대부터 서울 근교에 제사 공장, 성냥 공장, 양조장들이 들어서게 되면서 일본 건설업자들이 수도권으로 모여들었고 건설 노동자 도 대거 투입되었다. 당시 토목·건축 분야 기능공과 노동자는 전 국민의 약 20%에 달했는데, 당시의 기능공이란 약간의 기능을 습득한 정도였고 제대로 된 기술을 배울 기회는 거의 없었다. 토건 노동자 역시 농한기 일 본인 중개자에 이끌려 강제 취역당한 노무자들이 대부분이었고, 이들은 기본적으로 숙련이 필요 없는 단순 육체노동에 투입되었다. 일제 말기에 들어서며 노동력 착취의 강도는 강제 동원, 심지어 강제 연 행으로 이어지며 더욱 심해졌다. 1933~38년 사이에 약 48만 명에 이르 는 조선인 건설 노동자 수가 집계되었고 이는 1920년대에 비해 3~4배의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다. 그러나 우리나라 노동자들은 같은 일을 하는 일 본인 노동자에 비해 임금면에서 엄청난 손해를 감내해야 했다. 당시의 월 평균 급여를 보면 일본인이 평균 78원인데 비해 조선인은 39원으로 2배 의 임금격차를 보이고 있었다. 1910년 일제에 강제 병합된 당시, 조선에 있던 17개 건설업체 가운데 조선 인이 경영하는 회사는 4개뿐이었고, 그 자본금 규모도 전체 건설업체의 10%에 불과했다. 그마저도 1932년의 통계 자료를 찾아보면 일본의 건설 업체 13개 사만 소개하고 있을 뿐 조선인은 철저하게 배제되었다. 당시 건 설업단체인 조선토목건축업회 회원 가운데 조선인은 극소수에 불과했고, 전체 토목·건축 분야 기술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. 이 같은 현실 속에서 모든 건설업은 일본인들이 독점했으며, 따라서 우리 민족에게는 사실상 ‘건설업’이라는 용어마저 허용되지 않았다. 그나마 적 지 않은 수의 건설기능공, 소수의 기술노동 공급 중심의 하도급업자, 극 소수의 중·하급 기술관료, 일본인 기업에서 훈련을 받은 약간의 기술직· 관리직 인력 등이 우리나라 건설업의 여명을 밝힐 작은 희망이었다. 비록 광복 이전의 건설 분야가 일본인의 독무대였지만, 토목과 건축 등 시공 부문에 종사한 기술자 가운데 20~30%, 그리고 기능공의 대부분이 우리 인력이었다는 사실은 광복과 더불어 새로운 국가 건설에 참여할 건설업 계의 각오를 다지는 기반이었다.

탐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