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2장 도전으로 넘은 위기, 232 도약으로 여는 새천년 233 력 강화 방안’을 발표하면서 보증기관의 엄격한 보증심사를 통해 부실 업 체를 선별하는 기능을 강화하고, 시장 기능에 의한 구조조정을 추진했으 며, 이와 함께 최저가 낙찰제 도입 때 예상되는 덤핑 입찰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 보증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. 이 같은 정부의 보증시장 개방 정책은 우량 업체에 대한 보증기관 간의 보증 인수 경쟁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했다. 시장 경쟁 체제의 도입에 따 라 일부 대형 우량 업체는 IMF 관리체제 이후의 경제 상황과 관련된 유 동성 문제 때문에 조합에 대한 추가 출자를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다. 이 러한 추세는 경쟁 보증사인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시장 잠식으로 나타나, 2000년 당시 경쟁사의 보증시장 점유율은 약 25%에 이르렀다. 2001년에 는 서울보증보험이 건설공사계약에 따르는 채무의 이행을 보증하는 공사 이행보증증권에 대한 상품을 개발하여 인수 경쟁에 뛰어들면서 건설보증 시장에서의 경쟁이 본격화되었다. 서울보증보험은 2001년 1월부터 1000억 원 이상 대형 공공시설공사 계약 때 공사이행보증서 제출이 의무화됨에 따라 외국의 사례를 토대로 약관을 제정하는 등 본격적인 상품 개발에 착수했다. 서울보증보험의 본격적인 진출로 사실상 조합이 독점해 온 건설보증시장 이 실질적인 경쟁 체제로 전환되었으며, 기존 시장을 지키려는 공제조합 과 신규 시장에 진입하려는 서울보증보험 간에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었 다. 특히 서울보증보험은 공사이행보증뿐만 아니라 선급금보증·계약보 증·하자보수보증·입찰보증 등 관련 보증업무를 대폭 강화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적극적으로 신규 보증상품 개발에 나섬으로써 건설보증시장을 둘 러싼 보증기관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임을 예고했다. 그리고 이제 조합은 그 경쟁에 대비할 체질 강화에 주력해야 했다. 조합과 서울보증보험 공사이행보증 인수실적(2001~2002) 단위 : 건, 백만 원 구분 건설공제조합 서울보증보험 연도 건수 금액 수수료 건수 금액 수수료 2001 27 674,047 3,502 26 1,123,724 10,674 2002 19 753,754 5,149 17 705,816 11,939